2018년 10월 30일 화요일

Reactjs 정리

리액트

데이터가 props , state로 관리됨

props은 부모 객체에서 만들고 자식에게 값을 넘기거나 함수를 등록해두면 자식 쪽에서 함수 실행 가능
값을 전달하거나 자식쪽에서 값을 받을 때 사용 ( 자식쪽에서 props의 값을 수정 못함 )
정적인 것에 사용
props는 태그의 값으로 전달함

state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동적으로 변할 수 있는 값들을 모아둠
변하는 값들을 보여주거나 부모에게 넘김
state는 객체로 만듬
this.setState가 호출되면 리렌더링 됨





정리 1

- 예시
index.js에서 reactDOM으로 app.js를 랜더링함

app.js에서 다른 컴포넌트들을 랜더링함 (props로 create함수 등록)

컴포넌트에서 버튼을 눌러 submit할때 함수를 등록

submit 함수에서 부모 props로 데이터 전달 (create함수 사용) this.props.onCreate(this.state)
e.prevenDefault() 하면 submit할때 새로고침 하는걸 막아줌

flutter 기본 개념 1

  Scaffold  - 화면 뼈대 역할  - 기본적으로 AppBar body floatingActionButton 같은걸 배치해줌  return Scaffold (       appBar : AppBar ( title : const Text ...